코로나 그 이후, 중고 명품 시장의 급성장 주목해야

코로나 그 이후에 대해 우리 삶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에 관한 연구가 끊이지 않는다. 여행과 관광 업계가 타격을 입는 등 세계 곳곳이 신음하고 있지만 또 그 속에서도 나름의 질서를 갖추며 회복탄력성을 보이는 분야도 있다. 바로 럭셔리 산업 분야다. 유럽 곳곳의 록다운(이동 제한) 등으로 재료 공급이 원활치 않고, 공장이 문을 닫거나 몇몇 업체가 파산했다. 면세 분야에서 매출 손실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온라인 등을 강화하거나 ‘브랜드’보다는 ‘취향’을 사는 MZ 세대에 맞춰 마케팅 방향성을 갖춘 브랜드를 중심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소비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럭셔리 업계도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소비도 일종의 ‘습관’과 하나의 ‘문화’이기 때문에 코로나 시대 이전과는 달라진 ‘+a’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부티크’는 이러한 럭셔리 산업의 좀 더 면밀한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인뎁스(in-depth)’ 포럼 현장을 찾았다. 지난 9일 CICI(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 주최로 서울 한남동 쿠웨이트 대사관저에서 열린 ‘코로나 시대의 럭셔리의 향방’ 특별 포럼이다. 연설자로 나선 다니엘 메이란 부루벨코리아 회장은 프랑스 명품 패션 라이프스타일 전문가다. 현재 트레블 리테일러(여행 유통)라 부르는 면세 업계를 주도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프랑스·이집트·모로코 대사 등 주한 외국 대사와 로레알 코리아 지사장 등 외국계 회사 관계자 등이 모여 코로나 이후 럭셔리 업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또 럭셔리 업계로 대두되는 여러 유통 산업의 모습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메이란 회장은 이날 “럭셔리 업계의 구조조정이 불가피 할 것”이라면서 “디지털이 강화되면서 동시에 매장에서 고객 응대 역시 훨씬 더 긴밀하고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전처럼 ‘명품존’에 있다고 해서 살아남는 게 아니라는 설명. 해외 쇼핑 대신 내국인 소비로 채워지면서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에 ‘이름난’ 브랜드의 ‘몸값’이 더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프리미엄 브랜드로 판매가 집중될수록 브랜드 가치는 높아지고, 줄 세우기가 될 수밖에 없게 된다. ‘재료’ 부족을 내세우면서 가격 상승을 이야기해도 사는 사람이 있다면 가격 상승은 피할 수 없는 일이 된다. 그렇다고 브랜드로서도 ‘명성’에만 매달 릴순 없다. 메이란 회장은 “매장에서의 고객 응대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다”고 말했다. 럭셔리는 ‘경험’을 사는 행위이기 때문에 온라인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이를 매장에서의 경험으로 충족하는 것. MZ 세대를 위해 VR,AR 같은 버추얼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매장을 비롯해 제페토(네이버 아바타)같은 온라인 서비스가 필요하긴 하지만 면대면 서비스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 진 것이다.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더욱 절실해 졌다 볼 수 있다. ‘리미티드 에디션’이 나오는 것처럼 한정된 공간, 한정된 시간동안 ‘제한된’ 사람이 만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고객 서비스(CRM)의 중요성은 극대화 될수 밖에 없다.
그가 가장 중요시 한 건 중고 명품 시장의 급부상. 요즘 MZ 세대에게 ‘중고’의 의미는 다르다. ‘리셀’(되파는 것)은 어쩌면 가치가 더 높아진다. 메이란 회장은 중고 명품 시장이 30% 이상 성장해 60억 달러(6조8억원) 이상 시장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업체 ‘딜로이트’는 럭셔리 브랜드의 중고 시장은 2018년 162억 달러에서 2026년에는 68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을 전망했다. 8년 만에 약 4.2배 성장할 것을 예상한 것이다. 미국 온라인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인 ‘더 리얼리얼’의 총 거래액(GMV)은 2017년 약 4억9000만 달러에서 2019년 10억 달러로 2배 이상 늘었다. 소셜미디어 등 ‘보이는 것’을 중시하는 이들에게 ‘중고’ 시장은 매력적일 수 있다.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명품을 구할 수 있고, 이를 되팔 수 있기도 하다. 또 환경적인 의미도 있어 보인다. 또 매년 나오는 그러그러한 ‘잇백’ 보다는 옛날 그때 그 품격을 지닌 ‘빈티지’ 상품을 알아보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클래식한 제품을 구하는 행렬이 길어지기도 한다. 때문에 요즘 등장하는 명품브랜드들은 ‘다시 과거로’의 분위기다. 샤넬은 물론 지방시, 프라다, 디올, 펜디, 루이비통 등 과거 최고의 영광을 누렸던 ‘그때 그 가방’을 다시 재현해 ‘클래식 라인’을 다시 선보인다. 낡고 비싼 제품보다 클래식한 느낌의 ‘요즘’ 것을 비슷한 가격으로 살 수 있다는 얘기다.
중고 명품 시장이 확대되고, 미국의 ‘리얼리얼’의 성공을 바탕으로 이를 노린 스타트업이 증가하는 것도 업계 트렌드.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신뢰’ 문제. 중고 명품 거래에서 ‘진품’ 인증을 해주는 건 쉽지 않다. 각 브랜드에서 이를 현재 해주고 있지는 않다. 해외 유명 중고 명품 업체들도 각자 ‘감정인’들을 두고 각자의 ‘양심’에 맡길 뿐이다. 때문에 거래를 위해서 가격표 등 모든 ‘증거’가 필요해진다. 때문에 일부 명품 업체에선 자동차 리스처럼 ‘명품 리스’를 얘기하기도 한다. 중고 시장이든, 리스 시장이든, ‘새것’만이 전부인 시대는 지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