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LED TV에서 OLED TV까지 잘못 알고 있는 TV 상식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매일 보는 TV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을까?
최근 TV 시장에서 화두로 떠오른 QLED TV부터 OLED TV까지
당신이 알고 있는
TV상식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1 시판되는 OLED TV는 빛과 색을 모두 스스로 낸다? [거짓]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OLED TV는 ‘빛은 스스로 낼 수 있지만, 색은 스스로 내지 못한다.’이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OLED TV는 자발광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이 자발광이 어떤 것인 것 정확히 아는 소비자가 적다. OLED는 현재 스마트폰에 적용된 RGB-OLED 방식과 TV에 적용된 W-OLED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W-OLED는 스스로 색을 내지 못한다. 그래서 LED TV처럼 색을 내기 위한 컬러필터가 있어야 한다. 결국 색을 스스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재의 OLED TV는 완전한 OLED TV라 볼 수 없다.
또 OLED TV는 빛이 TFT(박막 트랜지스터)를 지나 나오는 배면발광 방식이다. 이는 전면발광 방식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배면발광 방식은 TFT 부분이 광원 위에 있어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기 때문이다. 결국 OLED TV는 더욱 많은 빛을 내기 위해서 전력 소비가 크고, 패널 내 유기물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는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을까?
최근 TV 시장에서 화두로 떠오른 QLED TV부터 OLED TV까지
당신이 알고 있는
TV상식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1 시판되는 OLED TV는 빛과 색을 모두 스스로 낸다? [거짓]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OLED TV는 ‘빛은 스스로 낼 수 있지만, 색은 스스로 내지 못한다.’이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OLED TV는 자발광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이 자발광이 어떤 것인 것 정확히 아는 소비자가 적다. OLED는 현재 스마트폰에 적용된 RGB-OLED 방식과 TV에 적용된 W-OLED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W-OLED는 스스로 색을 내지 못한다. 그래서 LED TV처럼 색을 내기 위한 컬러필터가 있어야 한다. 결국 색을 스스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재의 OLED TV는 완전한 OLED TV라 볼 수 없다.
또 OLED TV는 빛이 TFT(박막 트랜지스터)를 지나 나오는 배면발광 방식이다. 이는 전면발광 방식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배면발광 방식은 TFT 부분이 광원 위에 있어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가리기 때문이다. 결국 OLED TV는 더욱 많은 빛을 내기 위해서 전력 소비가 크고, 패널 내 유기물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W-OLED TV의 번인은 일시적 현상이다 [거짓]
W-OLED TV의 번인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남는다. 번인(Burn-in)은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가 빛과 열에 의해 잔상이나 얼룩이 영구적으로 남는 현상이다. 특히 영화나 스포츠 경기, 뉴스를 장시간 반복적으로 시청하게 되면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방송사 로고나 자막 등이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것이 번인의 대표적인 예. 번인의 주원인은 OLED TV를 구성하는 유기물이 빛과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W-OLED TV의 번인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남는다. 번인(Burn-in)은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가 빛과 열에 의해 잔상이나 얼룩이 영구적으로 남는 현상이다. 특히 영화나 스포츠 경기, 뉴스를 장시간 반복적으로 시청하게 되면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방송사 로고나 자막 등이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것이 번인의 대표적인 예. 번인의 주원인은 OLED TV를 구성하는 유기물이 빛과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3 소비자가 선택한 QLED TV [진실]
QLED TV는 지난 2017년 출시 이후 글로벌 누적 판매량 540만 대를 돌파했다. (2019년 상반기 기준) 판매 열풍은 올해도 계속되었다. 올해 상반기 QLED TV 판매량은 약 200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87만대) 127% 성장했지만, 국내 업체의 OLED TV 판매량은 약 72만대로, 지난해보다(71만대) 1.6% 성장에 그쳤다. 이처럼 최근에는 QLED TV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소비자에게도 어필하며 올해 연말까지 QLED TV 글로벌 누적 판매량이 9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
QLED TV는 지난 2017년 출시 이후 글로벌 누적 판매량 540만 대를 돌파했다. (2019년 상반기 기준) 판매 열풍은 올해도 계속되었다. 올해 상반기 QLED TV 판매량은 약 200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87만대) 127% 성장했지만, 국내 업체의 OLED TV 판매량은 약 72만대로, 지난해보다(71만대) 1.6% 성장에 그쳤다. 이처럼 최근에는 QLED TV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소비자에게도 어필하며 올해 연말까지 QLED TV 글로벌 누적 판매량이 900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

4 QLED TV는 퀀텀닷을 사용해 선명하고 수명이 길다 [진실]
QLED TV는 퀀텀닷 기술을 적용해 더욱 또렷한 컬러를 표현해낸다.
퀀텀닷(Quantum dot)이란 2~1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이하의 반도체 결정으로 양자점이라고도 불리며, 재료를 바꾸지 않고 입자 크기를 조절해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다.삼성전자 QLED TV는 퀀텀닷 기술을 적용해 우수한 컬러 표현은 물론 빛 손실을 최소화하고 어떤 환경에서도 밝고 선명한 화질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QLED TV는 무기물 소재를 사용해 번인 걱정이 없고, 시간이 지나도 선명한 화질을 즐길 수 있다. 이런 특성들을 적용한 QLED TV는 초고화질 퀀텀닷 기술을 접목해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깊이 있는 현실감을 선사하며 초대형 화면에서도 선명한 화질과 풍부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QLED TV는 퀀텀닷 기술을 적용해 더욱 또렷한 컬러를 표현해낸다.
퀀텀닷(Quantum dot)이란 2~1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이하의 반도체 결정으로 양자점이라고도 불리며, 재료를 바꾸지 않고 입자 크기를 조절해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다.삼성전자 QLED TV는 퀀텀닷 기술을 적용해 우수한 컬러 표현은 물론 빛 손실을 최소화하고 어떤 환경에서도 밝고 선명한 화질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QLED TV는 무기물 소재를 사용해 번인 걱정이 없고, 시간이 지나도 선명한 화질을 즐길 수 있다. 이런 특성들을 적용한 QLED TV는 초고화질 퀀텀닷 기술을 접목해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깊이 있는 현실감을 선사하며 초대형 화면에서도 선명한 화질과 풍부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